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사설]국회는 자신들이 만든 법을 지키면 될 일

이경헌 기자 | 입력 : 2020/04/20 [17:08]

오늘은 장애인의 날이다. 평소에도 장애인의 인권에 대해 늘 생각하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하니 이날 하루라도 장애인의 인권에 대해 생각하자는 의도로 만들어진 날로 올해로 40년이 됐다.

 

하지만 우리 정치권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아직 후진적이다.

 

얼마 전 치러진 제21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미래한국당 비례대표로 금배지를 달게 된 시각장애인 피아니스트 김예지 씨의 안내견 때문에 국회에 등원도 하기 전에 논란이 되고 있다.

 

시각장애인 안내견은 장애인복지법에 의해 공공장소나 숙박시설, 식품접객업소 등 여러 사람이 모이는 곳에 출입을 보장받는다.

 

하지만 국회사무처는 국회법에서 본회의나 위원회 회의에 방해되는 ‘물건’이나 ‘음식물’을 반입할 수 없다는 조항을 들어 그동안 안내견의 본회의장 출입을 막아왔다.

 

지난 17대 때 활동한 정화원 의원 역시 시각장애인이었는데 안내견의 회의장 출입을 허용하지 않아 어쩔 수 없이 보좌진의 도움을 받아 회의장에 출입했었다.

 

물론 혹자는 김예지 당선인 역시 같은 방법으로 회의장에 출입하면 될 일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이는 장애인을 수동적 존재로 전락시키는 것이기에 그리 좋은 대안이 아니다.

 

시각장애인에게 안내견은 ‘물건’도 아니고 더욱이 ‘음식물’도 아니다. ‘눈’이다.

 

안내견만 있으면 어디든 혼자 안전하게 다닐 수 있는데, 굳이 안내견 없이 누군가의 팔목에 의지해 다니라고 할 수는 없다.

 

2007년 국회에서 장애인 차별금지법을 제정했다. 누구든지 장애를 이유로 차별받지 않도록 명문화 한 것으로, 물론 이 법에서도 안내견의 공공기관 출입을 보장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이런 법을 만든 국회에서 안내견의 본회의장 출입을 놓고 고민할 이유가 있을까 싶다.

 

입법의 취지를 생각해 입법부가 법대로만 하면 될 일이다. 고민할 게 하나도 없다.

 

오죽하면 미래한국당 말고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나 군소 야당인 정의당이 나서서 당연히 허용해야지 뭘 고민하냐고 쓴소리를 할 정도다.

 

장애인의 날 하루만 장애인을 위하는 척 하지 말고, 평소에도 장애인을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생각하는 국회가 되길 바란다.


/디컬쳐 이경헌 발행인

 
관련기사목록
포토뉴스
메인사진
(포토)우리의 하트를 받아랏!
메인사진
(포토)꽃 구경 나온 노인들
메인사진
(포토)누가 왕을 잡을 것인가?
메인사진
(포토)티니핑이 나타났다!
메인사진
(포토)엘라스트, 캐주얼한 모습 공개
메인사진
(포토)고양국제꽃박람회, 장애인도 같이 즐겨요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