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디컬쳐

[미리보기]이름을 알리는 게 중요한 게 아냐

이경헌 기자 | 기사입력 2025/08/08 [09:50]
엔터테인먼트 > 외화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미리보기]이름을 알리는 게 중요한 게 아냐
기사입력  2025/08/08 [09:50]   이경헌 기자

 

그래픽이라는 낯선 장르를 주류에 편입시킨 제프 맥페트리지의 그림은 펩시뿐 아니라, 애플워치 배경화면으로도 사용되지만 그의 작품인지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제프는 자기 생각의 속도에 맞춰 연필로, 작은 그림을 그린다.

 

어릴 적 그는 파리에 있는 카페에 가지 못할 걸 알았기에, 파라에 있는 카페 풍경을 그리는 화가가 아닌 로고를 그리는 디자이너가 되기로 생각했다고 한다.

 

그의 엄마는 중국인이었지만, 미국사회에 동화되기를 원했기에, 그도 여러 사람과 어울리며 지냈다.

 

예술가라면 으레 술, 담배를 할 것이란 생각에 그는 동의하지 않는다.

 

게다가 다른 예술가의 자서전을 보면 꼭 이혼 이야기가 나오지만, 그는 아내와 가족을 소중히 여긴다.

 

그도 그럴 것이 제프와 반대로 F성향인 아내 덕에 그의 그림이 더 풍부해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는 딸이 어릴 적 학교에서 연극 공연을 하면, 자발적으로 아이들 눈높이에 맞는 포스터를 만들기도 했다고 한다.

 

스스로 채찍질하면서 더 높은 레벨에 오르려고 애쓰는 그는, 현재 예술가와 디자이너로 활동 중이다.

 

이런 사람이 드물기도 한 상황에서, 그는 영감을 얻기 위해 다양한 문화기업과 작업하는 과정에서 예술가랍시고 거들먹 거리지 않는다. 그래서 그를 찾는 기업이 많다.

 

하지만, 그렇다고 돈만 주면 아무 일이나 맡는 사람도 아니다. 그에겐 거절보다 승낙하는 게 더 어려운 성격이라 그렇다.

 

일을 맡으면 그는 회의하느라고 시간을 소비하지 않는다. 어차피 회의를 한다고 해서, 그의 작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에 그는 회의를 하지 않는다.

 

 

다큐멘터리 영화 <제프 맥페트리지: 드로잉 라이프>는 지하철 역, 공공기관, 스마트워치, 신발, 콜라 등 다양한 곳과 제품을 통해 우리와 만나고 있는 화가 겸 디자이너 제프 맥페트리지를 소개한다.

 

하루에도 수 차례 그의 작품을 만나기도 하지만(심지어 영화 <그녀> <존 말코비치 되기> <괴물들이 사는 나라>에도 그의 작품이 등장한다.), 솔직히 우리는 누구 작품인지도 잘 모른다.

 

하지만 그는 개의치 않고 “내가 원하는 걸 쫓기로 했다”며 자기만의 취향과 리듬으로 살아간다.

 

꼭 내 이름을 남기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기 삶을 즐기는 게 소중하다는 깨달음을 주는 다큐멘터리 영화 <제프 맥페트리지: 드로잉 라이프>는 13일 개봉한다.

 

/디컬쳐 이경헌 기자 ceo@

이 기사 좋아요
ⓒ 디컬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포토뉴스
이동
메인사진
(포토)러블리한 ‘아이’의 볼하트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광고